Menu
NEWS
“국가차원의 미래 전력산업 제주도가 선도해야”
enertalk_energy
2023-08-25 17:48
작성일 : 2023-05-31
시행 1년 앞두고 도민수용성 강화 등 사업모델 설계 중요
제주도는 31일 오전 7시30분 도청 백록홀에서 국내 분산에너지 관련 전문가를 초청한 가운데 ‘분산에너지 조찬 스터디’를 개최했다.
제주도가 국회에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을 제정함에 따라 제주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특구) 선점하고, 재생에너지 시장 확대를 모색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당장 내년부터 시행되는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제주의 특구지정이 제주도민들에게 보다 많은 혜택으로 돌아가기 위해선 보다 세밀한 준비과정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제주도는 지난달 30일 제주 건설회관 4층 회의실에서 ‘분산에너지 관련 도내 기업과의 간담회’를 개최한데 이어 31일 오전에는 도청 백록홀에서 국내 분산에너지 관련 전문가를 초청, ‘분산에너지 조찬 스터디’를 개최했다.
이날 조찬 스터디에서 기조발제를 한 제주대 진영규 교수는 ‘분산에너지 해외사례 소개’를 주제로 영국이 에너지 혁명을 위한 ‘LEO’(Local Energy Oxfordshire, 새로운 배전시스템 운영방식을 옥스퍼드시 전체에 적용하는 프로젝트)를 집중 설명했다.
진 교수는 “LEO 프로젝트를 실증연구하고 있는 옥스퍼드시는 인구와 면적 등 제주도와 비슷하기 때문에 우리가 참고할 만한 부분이 많다”면서 “현재 가동 중인 화석연료 기반의 발전기 3대를 동기조상기(발전기와 동일한 구조의 회전기기로 회전운동을 통해 관성을 제공하고 부가적으로 무효전력을 공급하는 설비)로 대체하고, 2034년까지 1151MW수준의 저장장치(ESS)를 포함한 유연성 자원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진 교수는 “이번 분산에너지활성화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제주도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하는 게 가시화됐다”면서 “이 법의 제정으로 국가 차원의 전력산업을 선도하는 부분이 가장 크기 때문에 도내에서의 분산에너지 특구와 관련한 다양한 산업이 다른 지방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준비를 잘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김선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은 “분산에너지 특구지정과 관련한 사업모델을 만드는게 중요하고, 실시간으로 전력 수요와 공급이 맞춰져야 한다”면서 “비용부담 측면에서는 소비자가 부담하는게 아니라 대규모 수요사업자나 발전사업자들이 유연성 비용을 충당해 도민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효섭 인코어드 테크놀리지 부사장은 “미국 캘리포니아이 경우 민간 전력회사들은 시설비 추가부담 등으로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지 않기 때문에 시민들이 직접 분산에너지에 기반해 전력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면서 “제주도에서도 한전과 전력거래소 등의 인프라 위에 자체 회사를 만들어 전력을 공급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영환 전력거래소 제주본부장은 “분산에너지 특별법이 제정, 시행되면 제주에너지공사의 역할이 많아져야 하지만 자본력과 조직확대 등의 문제점으로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는 방안도 생각해야 한다”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전에서 해야 하는 만큼 제주도는 한전과 적극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백남길 한국전력 제주본부장은 “분산에너지를 지속 가능하게 하고, 생산자와 소비자가 수익을 창출하게 하려면 요금을 어떻게 결정할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호민 제주에너지공사 사장은 “분산에너지의 가장 큰 특징은 ‘따로 또 함께’로 지역에서 에너지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며 “당면과제는 재생에너지 수익률 하락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다 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을 미리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한윤철 에너지공단 제주본부장은 “분산에너지특별법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하위법 마련과 제도 시행과제 방안 마련이 중요한데 현재 산자부에서 관련 용역을 10월말까지 진행하고 있다”면서 “제주도가 분산에너지특구를 선제적으로 준비하기 위해서는 이 용역과정에 보다 많은 의견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고 건의했다.
오영훈 지사는 “분산에너지 특별법이라는 제도가 갖춰진 만큼 이제 시장을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며 “시장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해내야 하고, 그로 인해 도민 삶의 질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일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지사는 “발전사업자 뿐만 아니라 전기차 소유자들도 전력요금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시대가 조속히 올 것”이라며 “많은 사업자들이 이미 제주에 와서 수익 모델 탐색과 연구조사를 진행하는 시점에서 제주도가 더 선제적으로 움직여 제주에 도움이 되는 방향을 설정해야 하고, 소비자와 전력 사용자, 개별 발전 사업자들의 참여를 높이는 방안도 함께 고민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제주도는 분산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해 지난해 4월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 수립한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어 전국 최초로 저탄소 중앙계약시장을 시범 도입하고 단기 필요물량인 65메가와트(260㎿/h)급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설비하고, 재생에너지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한 실시간·예비력 시장과 재생에너지 입찰 제도 등 전력시장 제도개선 방안을 도입할 예정이다.
#iDERMS_VPP
시행 1년 앞두고 도민수용성 강화 등 사업모델 설계 중요
제주도, 31일 국내 전문가 초청 ‘분산에너지 조찬스터디’
제주도는 31일 오전 7시30분 도청 백록홀에서 국내 분산에너지 관련 전문가를 초청한 가운데 ‘분산에너지 조찬 스터디’를 개최했다.
제주도가 국회에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을 제정함에 따라 제주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특구) 선점하고, 재생에너지 시장 확대를 모색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당장 내년부터 시행되는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제주의 특구지정이 제주도민들에게 보다 많은 혜택으로 돌아가기 위해선 보다 세밀한 준비과정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제주도는 지난달 30일 제주 건설회관 4층 회의실에서 ‘분산에너지 관련 도내 기업과의 간담회’를 개최한데 이어 31일 오전에는 도청 백록홀에서 국내 분산에너지 관련 전문가를 초청, ‘분산에너지 조찬 스터디’를 개최했다.
이날 조찬 스터디에서 기조발제를 한 제주대 진영규 교수는 ‘분산에너지 해외사례 소개’를 주제로 영국이 에너지 혁명을 위한 ‘LEO’(Local Energy Oxfordshire, 새로운 배전시스템 운영방식을 옥스퍼드시 전체에 적용하는 프로젝트)를 집중 설명했다.
진 교수는 “LEO 프로젝트를 실증연구하고 있는 옥스퍼드시는 인구와 면적 등 제주도와 비슷하기 때문에 우리가 참고할 만한 부분이 많다”면서 “현재 가동 중인 화석연료 기반의 발전기 3대를 동기조상기(발전기와 동일한 구조의 회전기기로 회전운동을 통해 관성을 제공하고 부가적으로 무효전력을 공급하는 설비)로 대체하고, 2034년까지 1151MW수준의 저장장치(ESS)를 포함한 유연성 자원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진 교수는 “이번 분산에너지활성화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제주도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으로 지정하는 게 가시화됐다”면서 “이 법의 제정으로 국가 차원의 전력산업을 선도하는 부분이 가장 크기 때문에 도내에서의 분산에너지 특구와 관련한 다양한 산업이 다른 지방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준비를 잘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김선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은 “분산에너지 특구지정과 관련한 사업모델을 만드는게 중요하고, 실시간으로 전력 수요와 공급이 맞춰져야 한다”면서 “비용부담 측면에서는 소비자가 부담하는게 아니라 대규모 수요사업자나 발전사업자들이 유연성 비용을 충당해 도민들에게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효섭 인코어드 테크놀리지 부사장은 “미국 캘리포니아이 경우 민간 전력회사들은 시설비 추가부담 등으로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지 않기 때문에 시민들이 직접 분산에너지에 기반해 전력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면서 “제주도에서도 한전과 전력거래소 등의 인프라 위에 자체 회사를 만들어 전력을 공급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영환 전력거래소 제주본부장은 “분산에너지 특별법이 제정, 시행되면 제주에너지공사의 역할이 많아져야 하지만 자본력과 조직확대 등의 문제점으로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하는 방안도 생각해야 한다”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전에서 해야 하는 만큼 제주도는 한전과 적극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백남길 한국전력 제주본부장은 “분산에너지를 지속 가능하게 하고, 생산자와 소비자가 수익을 창출하게 하려면 요금을 어떻게 결정할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호민 제주에너지공사 사장은 “분산에너지의 가장 큰 특징은 ‘따로 또 함께’로 지역에서 에너지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며 “당면과제는 재생에너지 수익률 하락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다 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을 미리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한윤철 에너지공단 제주본부장은 “분산에너지특별법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하위법 마련과 제도 시행과제 방안 마련이 중요한데 현재 산자부에서 관련 용역을 10월말까지 진행하고 있다”면서 “제주도가 분산에너지특구를 선제적으로 준비하기 위해서는 이 용역과정에 보다 많은 의견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고 건의했다.
오영훈 지사는 “분산에너지 특별법이라는 제도가 갖춰진 만큼 이제 시장을 만드는 것이 핵심”이라며 “시장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해내야 하고, 그로 인해 도민 삶의 질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일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지사는 “발전사업자 뿐만 아니라 전기차 소유자들도 전력요금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시대가 조속히 올 것”이라며 “많은 사업자들이 이미 제주에 와서 수익 모델 탐색과 연구조사를 진행하는 시점에서 제주도가 더 선제적으로 움직여 제주에 도움이 되는 방향을 설정해야 하고, 소비자와 전력 사용자, 개별 발전 사업자들의 참여를 높이는 방안도 함께 고민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제주도는 분산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해 지난해 4월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 수립한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어 전국 최초로 저탄소 중앙계약시장을 시범 도입하고 단기 필요물량인 65메가와트(260㎿/h)급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설비하고, 재생에너지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한 실시간·예비력 시장과 재생에너지 입찰 제도 등 전력시장 제도개선 방안을 도입할 예정이다.
#iDERMS_VPP
출처 : 제주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