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nu
NEWS
대한민국 제1호 분산에너지 특구 조성 신호탄 쐈다!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협의체’ 출범
enertalk_energy
2022-10-17 11:46
작성일 : 2022-10-16
그린수소 최적조합으로 출력제어 문제해결·사회적 총비용 감소 결론 도출
[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가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을 발표한데 이어, 인프라 구축과 규제개선을 통한 ‘대한민국 제1호’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 기반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제주도가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협의체 출범식 및 분산에너지 활성화 포럼’ 행사를 개최하며, 분산에너지 기반의 탄소중립 성공사례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에 나섰다. [사진=제주도]
제주도는 지난 12일 오후 2시 제주한라대학교 한라컨벤션센터에서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협의체 출범식 및 분산에너지 활성화 포럼’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서는 도내 출력제어 해소를 위해 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적정 에너지 저장원별 구성, 분산에너지 사업자 수익성 분석 및 전력시장 개념 설계를 통한 구체적인 특례조항 등이 논의됐다.
분산에너지 인프라 구축, 전력거래 특례제도, 신산업 육성 등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의 실행력 확보와 동시에 분산에너지 전국 확산모델을 도출하고 대한민국 에너지 비전을 제시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이날 「제주형 가치보상체계 도입방안」 연구용역 결과 발표를 통해 제주도 출력제어 문제를 해결하고, 총 사회적 비용을 해결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용역을 맡은 넥스트(대표 김승완)는 “에너지저장장치, 동기조상기,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Power to Heat, P2H) 등 그린수소에너지 최적 조합을 통해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총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며, “이를 통해 제주의 분산에너지 특구 추진이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한 탄소중립이라는 가치실현 뿐 아니라 경제적 타당성 또한 확보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급 과잉량을 최소화하고, 발생 비용을 공정하게 분배해 사업자의 수익을 보장하는 체계가 필요하다”며,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를 대체하는 제주형 토큰(Token) 도입으로 출력제어 손실을 간접적으로 보상하고, 지역화폐처럼 사용을 확대해 전력수요의 유연성도 확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제주 주도의 전력 경매시장 개설이 필요하며, 공급 측면에서는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허가 권한 확보, 수요 측면에서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 별도 공급량 설정 등 규제개선을 포함한 분산에너지 특구 계획 수립이 선행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또한, 레플러스 유병천 대표가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을 바탕으로 제주 분산에너지 특구 추진 방향을 제언했으며, 인코어드 이효섭 부사장이 전력 공급과 수요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지능형 사물인터넷(AIoT)과 결합한 통합발전소(VPP) 운영으로 신재생에너지 가치를 향상해야 한다고 발제했다.
한편, 분산에너지 활성화 포럼에 앞서, 도내·외 유관기관·전문가·기업 등이 참여하는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협의체(이하 협의체)’ 공식 출범식도 진행됐다. 협의체는 앞으로 분산에너지 특구 설계를 위한 사업모델 발굴, 규제 도출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주도는 협의체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기본 데이터 수집, 사업 모델링, 국내외 사례 등을 분석하기 위해 분야별 워킹그룹도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다.
제주도 김창세 미래전략국장은 “다양한 제안은 에너지원별 조화로운 결합과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제주형 분산에너지 특구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민선8기 제주도정은 도민과 함께 새로운 에너지 미래를 열어가기 위해 분산에너지 기반의 탄소중립 성공사례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iDERMS_VPP #ENCORED_IOT
그린수소 최적조합으로 출력제어 문제해결·사회적 총비용 감소 결론 도출
[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가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을 발표한데 이어, 인프라 구축과 규제개선을 통한 ‘대한민국 제1호’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 기반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제주도가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협의체 출범식 및 분산에너지 활성화 포럼’ 행사를 개최하며, 분산에너지 기반의 탄소중립 성공사례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에 나섰다. [사진=제주도]
제주도는 지난 12일 오후 2시 제주한라대학교 한라컨벤션센터에서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협의체 출범식 및 분산에너지 활성화 포럼’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에서는 도내 출력제어 해소를 위해 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적정 에너지 저장원별 구성, 분산에너지 사업자 수익성 분석 및 전력시장 개념 설계를 통한 구체적인 특례조항 등이 논의됐다.
분산에너지 인프라 구축, 전력거래 특례제도, 신산업 육성 등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 기본계획」의 실행력 확보와 동시에 분산에너지 전국 확산모델을 도출하고 대한민국 에너지 비전을 제시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이날 「제주형 가치보상체계 도입방안」 연구용역 결과 발표를 통해 제주도 출력제어 문제를 해결하고, 총 사회적 비용을 해결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용역을 맡은 넥스트(대표 김승완)는 “에너지저장장치, 동기조상기,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Power to Heat, P2H) 등 그린수소에너지 최적 조합을 통해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총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며, “이를 통해 제주의 분산에너지 특구 추진이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한 탄소중립이라는 가치실현 뿐 아니라 경제적 타당성 또한 확보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급 과잉량을 최소화하고, 발생 비용을 공정하게 분배해 사업자의 수익을 보장하는 체계가 필요하다”며,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를 대체하는 제주형 토큰(Token) 도입으로 출력제어 손실을 간접적으로 보상하고, 지역화폐처럼 사용을 확대해 전력수요의 유연성도 확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제주 주도의 전력 경매시장 개설이 필요하며, 공급 측면에서는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허가 권한 확보, 수요 측면에서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 별도 공급량 설정 등 규제개선을 포함한 분산에너지 특구 계획 수립이 선행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또한, 레플러스 유병천 대표가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을 바탕으로 제주 분산에너지 특구 추진 방향을 제언했으며, 인코어드 이효섭 부사장이 전력 공급과 수요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지능형 사물인터넷(AIoT)과 결합한 통합발전소(VPP) 운영으로 신재생에너지 가치를 향상해야 한다고 발제했다.
한편, 분산에너지 활성화 포럼에 앞서, 도내·외 유관기관·전문가·기업 등이 참여하는 ‘제주형 분산에너지 추진협의체(이하 협의체)’ 공식 출범식도 진행됐다. 협의체는 앞으로 분산에너지 특구 설계를 위한 사업모델 발굴, 규제 도출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주도는 협의체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기본 데이터 수집, 사업 모델링, 국내외 사례 등을 분석하기 위해 분야별 워킹그룹도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다.
제주도 김창세 미래전략국장은 “다양한 제안은 에너지원별 조화로운 결합과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제주형 분산에너지 특구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민선8기 제주도정은 도민과 함께 새로운 에너지 미래를 열어가기 위해 분산에너지 기반의 탄소중립 성공사례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iDERMS_VPP #ENCORED_IOT
출처 : 인더스트리뉴스